고령신씨 소장 고문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고령신씨 소장 고문서는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구문천리에 있는 고문서입니다. 2007년 12월 20일에 지정되었다가, 2019년 10월 23일 향토문화재(유형) 제13호로 변경 재분류되었습니다.
고령신씨는 고려 고종 연간에 문과에 급제하여 검교군기감이 된 신성용을 시조로 합니다. 고령신씨 북백공파 고문서는 고령신씨 북백공파 종손 집에 대대로 전수되어 온 조선 중후기 문서들입니다. 이 고문서는 대대로 전승되어 온 조선 후기 문서들로, 주로 토지 매매와 관련된 내용이 많습니다.
주요 내용:
- 토지 매매 관련 문서: 17세기 말 명문(明文)으로 1678년(숙종 4) 신통정(申通政) 댁에서 신은율(申殷栗) 댁에 수원 며거리(旀去里) 내칙포(乃敕浦)와 남양 분향면 고백산(古白山) 아래 구밀동의 시장(柴場)을 매매한 문서, 1698년(숙종 24) 신통정 댁에서 신은율 댁에 남양 분향면 고백산 구밀동의 시장을 매매한 문서, 그리고 1699년(숙종 25) 유학 윤형주(尹亨周)가 신결(申潔)에게 진위면 소재 전답을 매매한 문서 등이 있습니다.
- 1800년대 구밀동 전답 매입 명문: 대부분 1800년대 구밀동의 전답을 사들인 명문입니다.
- 기타 문서: 판결문, 장택기(葬擇記) , 호구단자(戶口單子)·준호구(準戶口) 등.
1879년(고종 16) 이생원 댁에서 신은율 댁에 김포(金浦)에 있는 전답을 매매한 1789·1804·1811·1878년 명문 총 5건과 1811년 소지 및 입지, 갑오년(甲午年)의 패지 등 총 8건의 문서가 점련(粘連)되어 있어 대상 토지의 매매 과정을 상세히 보여줍니다.
고령 신씨 북백공파 고문서는 85건이 있으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5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고령신씨 소장 고문서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